2011/08/06
아래 내용은 CAD & Graphics(캐드엔그래픽스) 8월호에 실린 Creo 소개에 대한 내용이며, 총 세 번에 걸쳐 연재가 될 내용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60B7E3F4E39D6583A)
Creo Sketch: 아이디어 및 디자이너 컨셉 2D ‘프리핸드 (freehand)’
위의 9개의 앱이 모두 흥미롭겠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여러분들이 궁금해하시는 부분이 바로 Creo Elements/Pro (구, Pro/ENGINEER 및 Creo Elements/Pro)일 것이라고 확신한다.
3.업계를 주도하는 사용성 (Industry leading UX)
4. 빠르고 효율적 어셈블리 설계(Faster, easier assembly design)
5. 타 CAD 데이터 재 사용(Legacy Migration eXtension)
8.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판금 설계(Faster sheetmetal design)
아래 내용은 CAD & Graphics(캐드엔그래픽스) 8월호에 실린 Creo 소개에 대한 내용이며, 총 세 번에 걸쳐 연재가 될 내용입니다.
오랜만의 기고다. 그것도 요즘 한참 화두가 되고 있는 Creo! 작년 10월 26일 PTC에서 Creo 발표를 하고 난 이후 이번에 Creo 1.0이 출시가 되었고, 약속대로 9개의 앱(apps.)이 발표되었다.
Creo!
많은 분들이 생각을 할 것이다. Creo가 과연 뭘까? 기존 PTC의 Pro/ENGINEER는 이제 사라졌나? 새로운 CAD인가? 호환성은? 새로 교육을 받아야 하나? 시스템이 불안하지 않을까? 등등 수 많은 궁금함이 있을 것이다.
자 그럼 가장 먼저 왜 Creo란 제품이 나왔는지 PTC라고 하면 가장 먼저 연상되는 Pro/ENGINEER란 네임 밸류까지 버리고 Creo(크리오)란 제품명으로 변경했는지 살펴보자.
PTC는 Pro/ENGINEER Wildfire 이후 또 한번 CAD의 큰 변화를 주기 위해 현 CAD/CAM/CAE의 가장 큰 문제점부터 파악했고, 전 세계 3,800명 이상의 CAD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가장 힘든 점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 설문을 했었다. 결과는 아래와 같이 나왔고, 이외에도 다른 여러 의견이 있었지만 5가지가 전체의 84%를 차지하였다.
이 글을 읽으시는 CAD & Graphics 독자 분들도 CAD 관리자 혹은 사용자이던 간에 위의 설문 결과에 대체로 수긍하실 것으로 믿는다. 위의 결과를 기반으로 차세대 CAD 시스템이 갖추어야 하는 항목을 다음과 같이 4가지로 함축을 했다.
사용의 용이성 (Usability)
상호 운용성 (Interoperability)
데이터에 종속 (Technology Lock-In)
다양한 어셈블리 설정 및 BOM 기반의 TDD (Assembly Management)
위와 4가지 요구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Ceo에서는 AnyRole Apps.™, AnyMode Modeling™, AnyData Adoption™, AnyBOM Assembly™ 이라는 혁신적인 기술을 도입하여 고객에게 전달하게 되었다. Creo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이미 이러한 용어를 들어보셨을 것이다.
AnyMode : CAD 데이터가 2D CAD, 3D Parametric, 3D Direct 등 어떠한 모드에서 만들어진 것에 관계없이 다른 모드에서 만들어진 데이터를 읽고, 재 사용할 수 있다. 회사나, 부서, 개인의 상황에 맞는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데이터 전환 시 형상, 설계 의도와 지능성에 대한 손실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AnyBOM : 하이 레벨 컨피규레이션이 필요한 제품을 생성, 검증 및 재 사용에 있어 강력한 확장성을 제공한다. Creo는 PLM 기반의 상향식과 하향식 설계 프로세스를 모두 지원하며, 고객은 어떤 설정의 제품이든 쉽게 계획을 하고 생성을 할 수 있다. 하향식 어셈블리는 BOM 구조를 정한 다음 특정 시리얼 번호를 부여하고, 고객이 확인하고 분석한 다음 성능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아쉽게도 AnyBOM은 Creo 2.0에서 제공이 되며, Creo 2.0은 내년 봄에 출시될 예정이다.
PTC는 Creo의 위와 같은 4가지 핵심 기술을 통해
창의성 제약 (Unlock creativity)
팀 워크 제약 (Unlock teamwork)
효율성 제약 (Unlock efficiency)
생산성 및 가치 제약 (Unlock value)
를 고객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reo Sketch: 아이디어 및 디자이너 컨셉 2D ‘프리핸드 (freehand)’
Creo Layout: 제품 개발 초기의 2D 레이아웃 설계 환경 및 Layout 데이터의 3D 설계에 사용
Creo Parametric: Creo Elements/Pro(구. Pro/ENGINEER)의 최신 버전. Direct 모델링 기법 제공
Creo Direct: 다이렉트 모델링 접근을 활용하는 신속하고 유연한 3D 지오메트리 생성 및 편집. 높은 설계 유연성을 위한 이전에 볼 수 없던 수준의 크리오 파라메트릭과의 상호 운용성 제공
Creo Simulate: 선형/비 선형 구조 및 열 시뮬레이션 솔루션
Creo Schematics: 다이어그램, P&ID, 회로도 설계 솔루션
Creo Illustrate: 2D/3D Technical Illustration 솔루션
Creo View ECAD: 회로/전자 데이터에 대한 형상 뷰, 검토 및 마크업
Creo View MCAD: 기구/기계 형상 뷰, 검토 및 마크업
위의 9개의 앱이 모두 흥미롭겠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여러분들이 궁금해하시는 부분이 바로 Creo Elements/Pro (구, Pro/ENGINEER 및 Creo Elements/Pro)일 것이라고 확신한다.
필자가 PTC에 입사를 했던 2000년 당시 Pro/ENGINEER의 이름과 버전은 Pro/ENGINEER 2000i2 였었고, Pro/ENGINEER 2001을 거쳐 Pro/ENGINEER Wildfire 1.0이 출시가 되었었다. 이후 2.0, 3.0, 4.0을 거쳐 5.0이 출시가 되었었고, 내부 버전인 Pro/ENGINEER Wildfire 5.0 M060까지는 이 명칭을 그대로 사용했고, M065부터 이름이 변경되었는데 Creo Elements/Pro 5.0 M065로 불리게 되었고, 최신 버전은 M090까지 출시가 되었다. Pro/ENGINEER에서 Pro/ENGINEER Wildfire 그리고 Creo Elements/Pro란 이름을 거쳐 이제 Pro/ENGINEER는 Creo Parametric 1.0이란 이름으로 거듭났다. 단, Creo Parametric이 Creo의 전부가 아니라 1.0에서 제공하고 있는 9개의 앱 중 겨우 한가지의 앱(apps.)일 뿐이다.
타사 제품 혹은 기존의 PTC 제품을 사용하던 고객들이 Creo 1.0 Parametric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를 정리해 보았다.
1.자유로운 컨셉 디자인(FreeStyle)
2.최고의 유연성(Extreme flexibility)
3.업계를 주도하는 사용성 (Industry leading UX)
4. 빠르고 효율적 어셈블리 설계(Faster, easier assembly design)
5. 타 CAD 데이터 재 사용(Legacy Migration eXtension)
6. 레이아웃 설계(Creo Layout)
7. 모델링 생산성 향상
8.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판금 설계(Faster sheetmetal design)
9. 향상된 3D 주석 (MBD)
이제 3D CAD에서 모델링은 단순히 원하는 형상을 구현하는데 그치지 않고, 제품 개발 과정에서 필요한 최대한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자 노력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해석, 최적화, 수학적 계산, 가공, 측정, 조립 정보 등이 여기에 포함되며, MBD라고 한다. MBD를 위한 PTC의 기술 개발은 계속 이루어지고 있으며, Creo Elements/Pro 5.0(구, Pro/ENGINEER)까지는 기능 추가에 80%, UX에 20%의 R&D 역량을 투자했었고, 이제는 UX에 80%, 기능에 20%의 역량을 투자하고 있다. 더불어 Creo 1.0 Parametric의 MBD 기술은 Creo View에서 Design Check 등과 더불어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을 할 수 있게 되었다.
10. 사실적 해석 결과(Simulate reality)
지금까지 Creo 1.0의 개념과 9개의 주요 앱에 대한 개략적 설명을 드렸다. 다음 호에는 Creo Parametric에 대한 상세 소개와 기타 8개의 앱에 대한 좀 더 자세하고 많은 분량으로 설명을 드리고자 한다.
사업자 정보 표시
주식회사 와파 | 허환호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신동 486(디지털엠파이어 II) 102동 410호 | 사업자 등록번호 : 791-87-00539 | TEL : 031-214-1120 | Mail : hhuh@proe.co.kr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News >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회 PTC 주최 대학생 모델링 컨테스트 참가기 (6) | 2011.09.27 |
---|---|
차세대 캐드, Creo가 열어가는 새로운 세계(2)-Creo의 각 Apps. 상세 소개 (6) | 2011.09.10 |
바탕화면 정리 프로그램 : Fence Desktop (0) | 2010.12.12 |
3D CAD/CAM/PLM 분야의 유일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소개 (2) | 2010.01.26 |
Pro/ENGINEER(프로엔지니어, 프로이) vs SolidWorks(솔리드웍스) (0) | 2009.12.21 |